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개발환경44

[Env] posh : git 관련 prompt 에 대한 짧은 소개. 다음 그림은 posh에서 git관련 prompt text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보여준다. 위 그림에서 수행된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우선 501개의 파일이 git에서 관리되고 있는 상황 (branch는 main)에서 2개의 file이 새로 추가되었고, 3개의 기존 file이 편집이 되었다. 이를 git add . 을 통해 해당 변경사항을 추가한 이후 이후 git commit 을 통해 모두 git repository에 반영을 하였다. 2023. 7. 23.
[Env] vscode : WSL과 연동. 이 문서에서 WSL은 WSL2를 포함하여 지칭함.vscode를 최초로 설치하고 난 다음에, wsl의 terminal 에서 code .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다이알로그가 뜬다.최초의 경우이기 때문에 묻는 것임. allow해준다.그러면 vscode가 수행되는데 역시 해당 folder를 대상으로 처음 vscode가 수행되는 것이니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Yes, I trust the authros 를 클릭한다.또 위의 창에서 Windows에서 vscode를 설치하고 wsl에서 최초 수행이므로 오른쪽 하단에 다음의 메시지가 WSL extension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notification이 있음. Install을 클릭하면 WSL extension이 설치된다.Extensions (ctrl+shift+x)를 입.. 2023. 7. 20.
[Env] Install a NerdFont on Ubuntu 순서 원하는 Nerd Font 를 다운로드. 압축을 풀고, 설치할 directory ~/.fonts 로 copy. ~/.local/share/fonts 에 설치해도 된다. 명령어 fc-cache -fv 를 수행하여 font cache를 rebuild (아래 설명 참조). 관련 Shell Script. #!/bin/bash if which fc-cache &> /dev/null ; then echo "fc-cache exists" else echo "fc-cache not found" sudo apt install fontconfig fi echo "Download CaskaydiaCove Nerd Font" if which wget &> /dev/null ; then echo "wget exists" e.. 2023. 7. 14.
[Env] Windows : 환경변수 설정 (Windows 10) Windows 키를 누르면 나오는 panel에서 설정(Settings)을 클릭. 시스템(System)에서 왼쪽 사이드 바에 아래로 내리면 정보(About)이 나옴. 이를 클릭. 정보가 선택된 상태에서 오른쪽 패널에서 아래로 내리다 보면 "고급 시스템 설정"(Advanced system settings) 이 있음. 를 클릭. 나타난 System Properties 창에서 하단의 Envrionment Variables...를 클릭. 여기서 환경변수를 클릭하면 환경변수를 추가 및 편집 가능함. 상단은 User variables와 하단은 System varaibles임. 2023. 7. 1.
[Env] Windows 환경변수 (Environment Variable) 설정 (Windows 11) Windows 키를 누르면 나오는 panel에서 Settings을 클릭. 왼쪽 사이드 바에서 System이 선택된 상태에서 아래로 내리면 About이 나옴. 이를 클릭. System > About 패널에서 중간에 있는 Related links 에서 Advanced system settings를 클릭. 나타난 System Properties 창에서 하단의 Environment Variables...를 클릭. 상단의 User variables for 계정명아래 있는 User variables와 System variables 밑에 있는 system variables들을 확인 가능함. 여기에서 새로 추가하고 편집가능. 2023. 7. 1.
[CLI] Power Shell의 Profile 수정 : conda를 위해서 Power Shell의 profile 경로에 한글이 있는 경우, conda등의 activate가 제대로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가 발생하는 대부분의 이유는 사용자 이름 등을 한글로 한 경우나... onederive를 한글 윈도우에서 설정하는 등으로 인해, 한글이 경로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위의 이유로 conda activate가 안되는 경우, Power Shell의 profile에 처리를 다시 해주면 된다. 시작하기 앞서, conda 명령어로 powershell에 대한 초기화를 다음의 명령어로 수행하여 conda activate를 위한 profile파일의 내용이 있는 script를 얻고 위치가 어딘지를 확인한다. conda init powershell 이 경우 변경이 이루어진 다양한 script.. 2023. 6. 29.
728x90
반응형